환영회식사

환영회식사

2012년 7월 30일 월요일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 내수가 회복된다?


현재와 같이 경제가 불황기에 접어들었을 때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 내수가 회복된다는 논리, 신문이나 뉴스에서 흔히 접해보셨을 겁니다. 이를테면 서울경제의 이번달 12 기사처럼 말이죠. 이는 얼마나 일리있는 얘기일까요?

지금처럼 경제가 불황기에 접어들었을 때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 내수가 회복된다는 논리, 신문이나 뉴스에서 흔히 접해보셨을 겁니다. 이를테면 서울경제의 이번달 12일 기사처럼 말이죠. 이는 얼마나 일리있는 얘기일까요?

물론 부자들이 돈을 더 쓴다면 내수 회복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것 자체는 당연한 얘기죠. 하지만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 내수가 회복된다'는 말은 사실 '서민과 중산층이 아닌,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만 내수가 회복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문제입니다. 위에서 인용한 기사에 따르면, 경기 침체시에는 서민과 중산층의 재무구조가 악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층에서 소비가 크게 늘어나기엔 어려움이 있다는 것으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네요. 이는 언뜻 타당하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어떻게 부자들이 지갑을 열도록 유도하느냐는 것입니다. 위 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부자와 기업들이 심리적으로 소비 및 투자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 정치적ㆍ정책적 환경을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굉장히 애매한 말이죠.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말처럼 쉽다면 이렇게 많은 나라들이 경제위기를 겪고 있지는 않을 것 같네요. 저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시행된 부자 감세의 효과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세금 인하로 인한 추가적인 소득을 부자들은 투자나 소비하는데 많이 쓸까요, 아니면 대부분 저축을 해버릴까요? 만약 대부분 저축을 한다면 원하는 효과를 거두기 힘들 것 같습니다. 한편 중산층이나 서민들은 어떨까요? , 어느 계층에 대한 감세가 경기를 진작시키는지에 가장 도움이 되는지는 각 계층의 한계소비성향이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이 됩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전승훈ㆍ신영임(2009)의 연구를 보면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소득이 높아질수록) 총소득ㆍ경상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낮고 비경상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높네요. 밑의 표가 이를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감세에 의한 추가 소득은 경상소득인가요, 비경상소득인가요? 만약 사람들이 이를 경상소득이라고 느낀다면, 부자보다는 오히려 저소득층에 대한 세제감면 혹은 보조금이 경기 진작에 더욱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대로 사람들이 이를 비경상소득으로 인식하는 경우 고소득층에 대한 감세가 효과가 더 클 것 같네요.

'불황기에는 부자가 지갑을 열어야 내수가 회복된다'는 논리에 대해 나름대로 대답을 해보고 싶었는데, 깔끔한 대답을 하기가 힘들었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문헌: 전승훈ㆍ신영임. (2009). 가계의 소비구조, 소비불평등, 한계소비성향의 변화와 정책시사점. 국회예산정책처.

댓글 7개:

  1. 분류를 해 보자면 '경기불황'에서 회복하기 위한 감세정책이니 일시적인 비경상소득에 더욱 가깝지 않을까요? 물론 연구 결과가 경상소득/비경상소득으로만 나와 있지만, 이런 간단한 분류만으로 어느 편에 감세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판단하기엔 좀 위험하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같은 비경상소득이라도 세부항목이 무엇이냐에 따라 심리적인 효과가 달라지고, 한계소비도 달라질 것 같아요.

    답글삭제
    답글
    1. 통계자료를 살피다 보면 만족스러울 만큼 자세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을 때를 만나고 아쉬움을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ㅠㅠ
      한편 제 생각엔 특정 계층 그것도 고소득층에 세금 혜택을 주는 게 정당화되려면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익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롤스가 말한 차등의 원칙2에서처럼요. 기사 본문을 읽어보면 명품관이나 고급자동차 소비가 줄었다고 나오는데, 그런 것을 부자들이 더 소비하게 된다고 저소득층에 trickle-down효과가 많이 생길까 의문이 들어요.

      삭제
  2. 한편 지금 저축보다 소비를 하는 것을 권장하는 것이 해결책인지도 의문이 듭니다. 한편으론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노후대비'가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시되고 있으니까요. 제 생각엔 소비부족으로 인한 일시적 경기침체로 문제를 파악하기보다, 경제제도에 펀다멘탈한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예컨대 노동의 효율적인 배분과 같은 문제요. 우리 사회에 교육 잘 받은 젊은이들은 참 많은데, 이들이 적재적소에서 재능을 발휘하고 있는가...같은 문제요. 하지만 사실 제도적 개선이 정말로 필요한지도 아직 제 느낌에 불과하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우리 사회에 교육 잘 받은 젊은이들은 참 많은데, 이들이 적재적소에서 재능을 발휘하고 있는가..."

      정말 중요한 문제라는 데에 공감합니다. 특히 주위 사람들이 취업하기 시작하면서 크게 다가오네요..

      삭제
  3. 본문과 댓글 잘 읽었습니다.

    1. 부자는 경상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빈자는 비경상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크다는 통계에 대해서 -

    : 빈자는 하루 "조금" 벌어서 하루 "그 조금 번 돈 다 써도 조금" 먹는 사람이라고 볼 때, 번 돈을 많이 쓰는 것은 당연하다고 봅니다. 여유를 부릴 상황이 아니니, 어쩌다가 얻은 수입은 가능한 비상시를 위해 아껴둔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면, 부자는 하루 "많이" 벌기에 하루에 "다 쓰기도 힘드니 번 돈 적당히" 쓰는 사람이라고 볼 때, 경상소득을 적당히 쓰고 저축해둬서, 굳이 비경상소득까지는 열심히 저축하지 않고 소비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감세로 소비가 진작되냐 안되냐의 문제를 조금 벗어나서, 그 소비된 돈이 누구에게로 가느냐의 문제-

    : flyingbunny 님이 말씀하신대로, 부자의 사치재에 대한 소비가 얼마나 범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일인지는 모르겠네요. 부자가 감세안해준다고 필수재를 못 살 사람들은 아니니, 감세로 늘어나는 소비는 대부분 사치재로 볼 수 있겠습니다.

    많은 빈자 자영업자들이 판매하는 물품이 사치재보다는 필수재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부자에 대한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늘리는 것은 부자들끼리 서로 돈놓고 돈먹기로 오히려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겠다는 우려가 듭니다.

    오히려 빈자에 대한 감세 정책을 실시할 때, 진작되는 소비의 크기는 부자에 대한 감세 정책보다 작더라도, 빈자들간의 돈 순환이 일어나서, 이른바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가 개선될 것으로 추측해봅니다.

    정리하면,
    1. 부자에 대한 감세로 내수가 늘어나냐 안되냐는, 정부가 고민해야할 진정한 문제가 아니다.

    2. 내수를 회복시킨다고 서민들의 체감 경기가 호전되지 않는 것은, 감세로 얻은 돈을 누구에게 쓰냐는 것은 신경쓰지 않고, 내수 수치에만 집중한 결과이다.

    라고 의문을 제기해봅니다.

    (최근 통계에서 내수 회복 여부와 관계 없이 체감 경기가 호전되었다는 기사는 본 적이 없습니다. )

    답글삭제
  4.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도표를 자세히 보니 부자의 비경상소득 비중이 높고 상대로 빈자의 경상소득 비중이 높네요 ㅎㅎ (가중평균을 해 볼때..) 제 생각입니다만 근로소득세에 대한 감면의 경우 -사람들이 세율을 직접 눈에 볼수 있기 때문에 '세후' 임금의 증가로 인식할 수 있어서 어쩌면 경상소득의 증가로 인식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반대로 간접세나 눈에 띄지 않는 세금의 '환급' 과 같은 감세의 경우는 비경상소득으로 볼수 있을 것이구요. 굳이 따지자면 연말정산 등의 환급형태로 이루어지는 감세는 비경상소득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고 근로소득세 감면은 세후임금에 영향을 미쳐 경상소득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같은 감세라고 해도 소비성향에 차이를 미칠수 있을거 같아요 ㅎㅎ

      삭제